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JAVA -배열 , for문
    JAVA 2025. 2. 24. 21:17

    https://note8770.tistory.com/8

     

    JAVA -for, while, do-while

    for문    for(int i=0; i   While문int i = 0;While(int  do-While문int i;do{ i++;}while(int  0부터 9번째를 반복 출려시킨다. (가장 기초적인 상태) while의 조건 문을 boolean 변수를 하면?//조건문이 없을때, 프로

    note8770.tistory.com

     

    이전 글에서 for를 했는데 왜 또 왔는가? 새로운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!

     

    배열

     

    int a = 1;

    int b = 2;

    int c = 3;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> 이렇게 입력하는거 귀찮다.  한번에 100개를 만드는 법이 없을까?

    int d = 4;

       ....

    int n = n;

     

    같은 자료형의 상자들의 묶음을 배열이라고 한다. 

    보통은 같은 목적의 집합체로 사용한다.

    //표시 1. 할당할 수있는 수가 많다면 사용.
    int[] count100  = new int[100];
    
    //표시 2. 미리 할당 할 수가 적으면 사용 | Map이나, emum을 사용할것! 
    int[] count100  = new int[6]{10,20,30,40,50,60};
    int[] count100  = {10, 20, 30, 40, 50, 60, 70, 80, 90}; 
    
    String[] words = new String[4];
    
    double[] temp = new double [1];
    
    boolean[] check = new boolean[3];

     기본적으로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.

     

    선언 방법:

                [자료형] [] 변수 이름 = new [자료형] [인덱스 길이값] {초기값들.... };

     

    장점.

    for(int i; i< count100.length; i++){
    
            count100[i] = i;
    }

     같은 목적으로 데이터를 넣어둔 상자들의 묶음으로 변수를 일일이 만들 필요없이, 반복문에 넣어두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채울수 있다.

       

    미리 필요한 값을 정해두고 데이터를 담아두고 사용 할수 있다.

     

    단점

     

    //이미 8로 선언되어 있다.
    int[] count100  = new int[8] {10, 20, 30, 40, 50, 60, 70, 80, 90};
    
    //결과 8로 출력
    System.out.println("길이 : " + count100.length);
    
    int[] count100  = new int[8] {10, 20, 30, 40, 50, 60, 70, ,};
    
    //똑같이 결과 8로 출력
    System.out.println("길이 : " + count100.length);

     

    배열의 길이는 데이터 수에 의해 길이가 정해지는 것이 아니고,  미리 선언한 길이값 상태로 선언 되어서 길이값을 자동으로 변경하기 어렵다.

     

    => List라는 친구가 해결해 줄거다.

     

     

    ★ for문은 또 왜?

    int[] count100 = new int[100];
    
    for(int i = 0: int < count100.length; i++){
        System.out.println(count100[i] + "번");
    }

     

    가장 흔한 형식의 for문으로 배열내 데이터를 출력 해봤다.

     

    장점: 

         - 흔한 방법이라 구글링 / 입문 서적에서 흔하게 볼수 있다.

         - 여러개의 데이터를 손쉽게 담을 수있다.

          - 특정 인덱스일경우의 값을 변경이 가능하다.

     

    단점:

          - 내부코드가 길어지기 시작하면 고민할게 많다.

    int[] count100 = new int[100];
    
    
    for(int a: count100){
        System.out.println(a + "번");
    }

     

    개발자를 목표로 공부하면 만나는 for문.

     

    위의 count100[i]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배열안에있는 요소를 임시 변수 a에 배열의 요소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     

    장점:

       간결함.

       인덱스데이터를 사용할 때 직관적임.     

     

    단점:

       특정 인덱스 위치의 데이터를 특정 접근 할 수 없다.

     

     

       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Java -Try Catch  (0) 2025.02.27
    JAVA - 클래스. 객체 설계도 작성 방법  (0) 2025.02.26
    JAVA -for, while, do-while  (0) 2025.02.24
    JAVA -Casting 하다.  (0) 2025.02.24
    JAVA 변수?  (0) 2025.02.24
Designed by Tistory.